연삭저항이
직접 작용하는 주축 SPINDLE은 연삭저항에 대응할 수 있는 강성이
요구됩니다.
주축
SPINDLE은 RADIAL(Fn) / THRUST(Ft) 양방향의 연삭저항에
대한 충분한 강성과
또한
이송 SLIDE부분의
내마모성 및 축내부의
SEAL구조,
정밀절입 이송기구는
거의
양두
평면연삭반의 심장부이며, 고강성, 고정밀이 요구되는 부분인 것입니다.
-1.
주축 MAIN SPINDLE
주축의
강성을 높여 단면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MAIN SHAFT와 FLANGE는
일체형
단조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특히 장시간의 사용 조건 하에서
일반적인
SPINDLE(SHAFT와
FLANGE의 조립형)과는 그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이같은
대형 부품의 초정밀 가공(MAIN SPINDLE의 FLANGE단면의 흔들림 3 µm이하)는,
가공도
어렵고, 또 가공 비용도 높기 때문에, 타사의 기계에서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NISSEI는
이부분에 있어 어떠한 타협도 배제하고 일체구조형 SPINDLE을 표준사양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축
BEARING은, RADIAL부하, THRUST부하를 충분히 견디지 못하면 안 됩니다.
타사의
제품에서는 좌측의 A, B를 1조의 복열 ANGULAR CONTACT로 양방향의 부하를
함께
대응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NISSEI의 주축은 이 부분에도 고강성,
고정밀에 대한
타협은
없습니다.
A,
C에 정밀 복열 원통 ROLLER BEARING을 배치하여 RADIAL부하를
대응하고, B에 복열
ANGULAR
THRUST ROLLER BEARING을 배치하여 여기서 THRUST부하를 대응하는
하중 독립
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 구조로 주축의 RADIAL, THRUST부하에 대한 강성은
타사에
비교될
수 없는 고강성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또 PULLEY D의 부분도 BEARING을
배치하여
주축(MAIN
SPINDLE)의 구동용 V-BELT의 TENSION이 주축각도에 영향을 끼칠 수도
없습니다.
-2.
QUILL SLIDE의 우수성
주축은
위에서 설명한 BEARING을 배치한 뒤 QUILL SLEEVE를 조립, 이 QUILL
SLEEVE자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A
|
QUILL
외경면
|
SLIDE면
(경질 크롬(Cr) 도금, 사상)
|
B
|
외경
나사(SCREW)부
|
이
부분에 WORM WHEEL을 조립 → 상하 구동부
|
C
|
QUILL
외경면
|
SLIDE면
(경질 크롬(Cr) 도금, 사상)
|
이
SLIDE부 구조는 타사 제품의 것과 평면도로 비교하면
NISSEI의 QUILL SLIDE방식의 우월성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의 사선부가 SLIDE 부분입니다.)
NISSEI의
SLIDE 구조
|
타사의
SLIDE 구조
|

|

|
SLIDE부
구조의 비교
NISSEI의 QUILL SLIDE 방식
|
타사의 TABLE SLIDE 방식
|
Slide부의
접촉면적이 넓어 강성이 탁월
|
접촉면적이
적어 Quill Slide에 비해
강성이
약하다.
|
Slide부가
원통형이므로 부하에 대해
방향성이
없어 강성이 높다.
|
Slide부가
압력을 받는 면적이 적고, X, Y의
방향에
대한 대응만으로 강성이 약하다.
|
Slide면의
부하에 대한 단위 면적 압력이
적고,
마모가 적으므로 Slide의 수명이 길다.
|
Slide면의
부하에 대한 단위 면적 압력이
높아
마모가 많아지므로 Slide수명이 짧다.
|
Slide부의
Seal은 Dust Seal과 O-ring을
병행할
수 있어 밀봉성이 높다.
|
구조적으로
Dust Wiper외에는 설치가
불가하여
절분, 연삭수의 침입에 취약.
|
|